본문 바로가기
자동차 관련 ETC

자동차 평균 연비 쉽게 계산하는 방법은?

by 펌핑펌핑의 이야기 공간 2021. 1. 11.
반응형

아마 자동차를 타시는 분들은 한번쯤은 이런 고민을 해보실 것 같습니다. "내 자동차의 평균 연비는 얼마나 될까?" 이 질문에 대한 발상은 저뿐만이 아니라 모든 자동차를 타시는 분들이나 연비가 좋은 자동차를 선택할 때, 판단하는 기준이 되겠죠. 이번 포스팅에서는 자동차의 평균 연비를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1. 내 자동차의 평균 연비에 대해서

사실 평균 연비를 구하는 것 자체가 별로 의미 없는 행동일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요즘은 자동차에서 자동으로 평균 연비를 실시간으로 알려주거나 또는 누적 키로수에 대해 얼마나 연비를 내고 있는지 알려주는 시스템이 잘 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 평균 연비에 대해서 보다 정확한 방법으로 내가 수기 계산을 해보고 싶다고 한다면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

 

2. 가장 손쉬운 방법의 평균 연비 계산법.

사실 평균 연비를 구하는 방법은 여러분들도 조금만 생각해보면 그리 어렵지 않게 구할 수 있는 공식을 생각해보실 수 있습니다. 1리터당 몇키로미터를 자동차가 갈 수 있는지에 초점을 두시면 됩니다. 이 점을 근거해두고 계산 공식을 살펴보도록 하죠.

평균 연비 : 총주행거리 / 내가 넣은 주유량

 

평균 연비를 구하는 공식은 위와 같습니다. 연비 계산하는 앱을 이용해도 좋지만, 기본적인 공식을 알고 있으시다면 더욱 좋겠죠.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A에서 B까지 400km되는 거리를 20L로 갔을 때, 평균 연비는 어떻게 될까?" 위 앞선 공식에 대입해본다면 400 나누기 20이 될 것입니다. 그러면 1L에 20km를 갔다는 평균 연비 계산이 나옵니다.

 

3. 조금 더 정확한 방법으로 평균 연비를 계산해보기.

 

모든 자동차에는 총키로수를 기록하는 ODO와 TRIP1, TRIP2가 있습니다. 이게 어떤거냐면 ODO의 경우 내가 설정할 수 없는 표시로써 자동차가 출고되어서 지금까지 달린 키로수를 뜻합니다. 반대로 TRIP1, TRIP2의 경우 내가 설정한 키로수대에 리셋을 해서 리셋한 지점으로부터 얼마나 달렸는지를 표시해주는 각각의 주행거리 기록 모드입니다.

 

그러면 위 방법을 토대로한 보다 정확한 방벙의 계산법을 써보겠습니다.

 

1. 주유소에 들러 연료를 가득 채웁니다.

2. 가득 채움과 동시에 TRIP1을 리셋하여 이동거리를 0km로 만들어줍니다.

3. 이동을 하다가 주유구에 불이 들어오던지, 다음 주유를 할 곳까지 거리가 먼 관계로 추가로 기름을 가득 채웁니다.

( 추가로 넣은 기름의 양을 반드시 옮겨적거나 영수증(몇리터 넣었는지 표기된 영수증, 보통 표기 다되어 있음)을 챙겨줍니다. )

4. 처음 가득 채웠을 때 당시의 기름량에서 두번째 가득 채웠을 때의 기름량을 빼주고, TRIP1에서 기록된 키로수로 나누어주면 보다 실질적인 평균연비를 계산할 수 있는 방법이 계산 됩니다.

 

지금까지 내 자동차의 평균 연비를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서 크게 2가지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두 방법 중에서 손쉽게 편한 평균 연비 계산 방법은 첫번째 방법이겠지만 조금 더 정확하게 하고자 한다면 두번째 방법으로 연비를 계산 해보는 게 좋습니다. 재미삼아서 자동차 계기판에서 나타내는 평균연비와 얼마나 차이날지 궁금하시다면 제가 알려드린 방법으로 계산해보는 건 어떨까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