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현대

아반떼 MD 고질병 종류 및 수리 정리

by 펌핑펌핑의 이야기 공간 2022. 10. 10.
반응형

2010년부터 2015년까지 생산된 아반떼 MD(더뉴아반떼 MD 포함)의 고질병에 대해서 알아보기 전에 대부분의 자동차에는 고질병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이 고질병은 어떤 값비싼 자동차를 구매하더라도 나타나고 대부분 다 보완할 수 있는데요, 그렇다면 아반떼 MD 고질병에는 어떤게 있는지 알아보고 어떻게 고질병을 고쳤는지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아반떼 MD

목차

  • 아반떼 MD 엔진 고질병
  • 아반떼 MD 핸들 소리 고질병
  • 아반떼 MD 피시테일링

 

1. 아반떼 MD 엔진 고질병

 

아반떼 MD의 엔진은 GDI엔진으로 이 엔진은 일부 결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참고로 GDI엔진의 뜻은 Gasoline Direct Injection 이라는 단어의 약자로 가솔린을 직접 분사해내는 방식의 엔진이라는 뜻 입니다.

 

간략히 말해 이 엔진 분사 방식은 디젤엔진에서 사용되는 실린더로 연료를 직접 쏘아주는 방식의 엔진으로 연비의 효율과 자동차의 출력을 증강 시켜주는 효과를 가지고 있으나 카본찌꺼기 축적과 함께 엔진효율 저하로 이어져 잔진동을 발생시키며 엔진의 내구성을 악화시키는 효과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이에 따라 메이커사에서는 해당 연식의 차량들에 대해서 엔진보증 기간을 늘려 10년에 16만km 까지 결함사항에 대한 보증수리를 받을 수 있게 조치되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아반떼 MD 엔진 고질병으로는 잔진동 발생, 차량 주행시 울컥거림, 엔진 부조화 등의 고질병 증상을 가지고 있으나 인젝터 클리닝, 엔진 카본 제거 등의 후조치로 고질병 증상을 수리하여 어느정도 잡아낼 수 있다고 합니다.

 

2. 아반떼 MD 핸들 소리 고질병

 

또 다른 고질병 증상으로는 아반떼 MD 핸들링시 소리에 관한 사항입니다. 즉, 아반떼 MD의 핸들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자동차들에는 메인 핸들 조향장치 이외에도 조향 보조를 해주는 장치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이 아반떼 MD의 조향에서 메인 장치와 보조 핸들 조향장치의 부조화로 핸들링시 유격이 있거나 돌리면서 소음이 발생하는 증상이 있는데 이 증상은 심하면 주행중 핸들이 잠겨버리는 증상까지도 나타날 수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결함에 대한 수리가 필요한데 다행히 제작시 문제된 부분이라 무상으로 수리가 가능하다고 합니다.

 

3. 아반떼 MD 피시테일링

 

피시테일링이라는 단어는 말그대로 물고기 꼬리를 뜻하는 단어입니다. 그런데 이 단어가 자동차쪽 설명 단어가 된 것은 아반떼 MD의 후륜이 접지력을 잃고 좌우로 흔들려버리는 증상을 보고 마치 물고기의 꼬리와 같이 움직이는 것에 붙여진 이름입니다.

 

아반떼 MD의 후륜이 불안정한 이유는 후륜의 축이 일반적인 멀티링크 방식이 아닌 토션빔 방식의 후륜을 채택한 것이라 보는 견해가 많습니다. 간단히 설명하여 멀티링크와 토션빔 방식의 차이에서 아반떼 MD가 채택한 토션빔은 뒷좌석 공간의 확보를 위한 것, 차량 자체의 무게 감소, 바퀴 양 끝이 멀티링크보다 자유로운게 좌우 전환이 일어나며, 원가가 절감된다는 점이 있습니다.

 

이렇게 토션빔이 채용된 아반떼 MD는 차량의 무게가 감소하고, 뒷좌석 공간이 확보되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차량 후륜이 불안정해질수 있는 요소가 생길수 있는 것입니다.

 

하지만 아반떼 MD의 토션빔은 태생적인 차체 일부에 속하기 때문에 대체할 방법은 없습니다만 접지력이 높은 타이어를 선택하여 피시테일링이 생길 확률을 조금 더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은 있겠습니다.

반응형